국회도서관

최신외국정책정보

미국의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 정책 변화

입법 및 정책현안과 관련된 주요국의 제도와 정책 및 외국 싱크탱크 기관의 최신 정책보고서를 조사·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여성가족위원회,보건복지위원회 국회도서관, 2025

최신외국입법정보

프랑스의 디지털 환경에서 아동 노동 보호 입법례

국내 언론 매체·법안의 핵심 이슈를 중심으로 입법 현안에 대한 주요국의 입법례와 법률정보를 제공합니다.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회도서관, 2025

Data+

비트코인에서 CBDC까지

국회 상임위원회 소관 최신 이슈를 발굴하여 국내외 관련 정책, 통계, 법령 등을 시각화한 인포그래픽 자료입니다.

국회도서관, 2025

Data&Law

데이터로 보는 고령자 고용

시의성 있는 현안에 대한 법률정보와 선별된 통계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공합니다.

환경노동위원회 국회도서관, 2025

World&Law

미국의 행정명령에 대한 이해

국내외 현안과 관련한 해외 법률을 소개하는 법률정보 뉴스레터입니다.

국회도서관, 2025

팩트북

트럼프 2.0 : 한눈에 보기

시의성 있는 주제를 선정, 관련 사실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정리하여 발간한 자료입니다.

외교통일위원회 국회도서관, 2025

최신 소식
[Article&Law 2025-1호] 미성년자 약취, 유인죄에 ‘생활환경 이탈 행위’ 도입
국회도서관 의회·법률정보실의 최신 소식을 가장 빠르게 알려드립니다.
2025. 4. 10.

법률정보

최신번역법률

Reglamento de la Ley de la Propiedad Industrial

ICAO Aerodrome Design Manual

◦ 개요- 이 법은 ‘특정지역 조성사업 협동조합’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지역사회의 유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관련 사업 운영의 유연성을 확대하도록 규정함◦ 협동조합 조합원 외 이용자에 대한 이용특례 완화 - 특정지역 조성사업 협동조합이 조합원이 아닌 자(특히 관계 시정촌 등 포함)에게 노동자 파견사업을 이용하게 하는 경우 이용비율을 정하여 특례를 정함. 즉, 해당자는 1 사업연도 기준으로 조합원 이용 총량의 50%(단, 관계시정촌 등을 제외한 조합원 외 이용자는 2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노동자 파견사업을 이용할 수 있음(제19조의2)※ 특정지역 조성사업: 계절별 노동수요 등에 따라 복수의 사업자에게 고용되는 인력( 멀티 워커)을 대상으로 하는 노동자 파견사업을 의미함 ※ 특정지역 조성사업 협동조합: 인구 급감 지역에서 중소기업 등이 구성한 사업협동조합이 ‘특정지역 조성사업’을 시행하는 경우로, 지방자치단체장이 요건을 충족했다고 인정하면 노동자파견사업(무기고용직원 한정)에 대해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로 진입이 가능함. 이에 따라 조합은 운영비에 대해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고, 안정적인 고용환경과 일정수준의 급여를 보장함으로써 지역 내ㆍ외의 청년층의 유입을 촉진하고, 지역사업을 진흥할 수 있음

◦ 개요- 이 법은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학대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가 및 사회적 대응구조를 강화하고, 피해자 보호 및 예방체계를 제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아동ㆍ청소년 성보호를 위한 국가ㆍ사회적 구조 강화 - 아동ㆍ청소년 대상 성학대를 방지하기 위해 연방 가족ㆍ노인ㆍ여성ㆍ청소년부 산하에 ‘연방아동ㆍ청소년성보호위원회’를 설치함(학대방지법 제2조). - 연방아동ㆍ청소년성보호위원회는 ①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를 위한 정책개발 및 지원, 연구, 조사, 보고 등의 직무를 수행하고(제6조). ② 실무상 연방 가족ㆍ노인ㆍ여성ㆍ청소년부의 지원을 받지만, 독립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며, 연방정부의 법적 감독을 받음(제5조) - 연방아동ㆍ청소년성보호위원회장은 '피해자자문협의회'와 '연방아동성학대조사위원회' 위원을 임명함. ① 피해자자문협의회는 아동ㆍ청소년 시절 성학대를 겪은 피해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며, '연방아동ㆍ청소년성보호위원회'와 '연방아동성학대조사위원회'에 자문 역할을 수행함(제19조~제24조) ② 연방아동성학대조사위원회는 구동독을 포함하여 아동ㆍ청소년기에 발생한 성학대 사건을 조사함(제24조~제29조) ※ 연방아동ㆍ청소년성보호위원회(Unabhängige Beauftragte für Fragen des sexuellen Kindesmissbrauchs, UBSKM)는 2010년 ‘독립위원회’로 출범하여 내각이 위원장을 임명했으나, 이 법에 따라 연방의회가 위원장을 임명하도록 개정됨 ※ 피해자자문협의회(Betroffenenrat), 연방아동성학대조사위원회(Unabhängige Aufarbeitungskommission)◦ 피해자 중심체계 구축- 연방아동ㆍ청소년성보호위원회는 현재 나이와 관계없이 아동ㆍ청소년기에 성학대를 겪은 피해자가 성폭력이나 성착취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개별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연방중앙상담시스템’을 제공해야 함(제4조)

◦ 개요- 이 법은 농촌의 인구 및 농업인의 감소, 농업수리시설의 표준내용 연수(年数) 초과로 인한 노후화, 그리고 자연재해의 심화 및 빈발 등의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토지개량 시설의 정비 및 보전을 위한 조치를 규정함 ◦ 토지개량시설의 수리 및 보존- 농업인의 신청 없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기간 농업수리시설 사업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를 신설함(제87조의2) - 토지개량구가 시정촌 및 기타 관계자와 협력하여 ‘제휴관리보전계획’을 작성하고, 지방자치단체장의 인가를 받아 토지개량시설 등의 보전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제57조의11~57조의15까지) ◦ 국가의 재해 방지 및 경감 긴급조치- 농업인의 신청이나 동의 없이 국가가 특례로써 긴급조치할 수 있는 절차에 원형복구, 재해방지, 돌발사고 피해방지 사업 등을 추가함(제49조 및 제87조의5)◦ 스마트 농업과 수요 대응형 기반정비 추진 - 농지중간관리기구 관련사업을 확대하고(제87조의3), 토지개량구가 지방자치단체장의 인가를 받아 정보통신환경을 정비하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함(제57조의9, 제57조의10) ※ 농지중간관리기구 관련사업: 지방자치단체가 사업주체가 되어 농지중간관리기구가 임대권 등을 가진 농지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농지개량사업

◦ 개요- 이 행정명령은 기존의 무역관행이 미국의 국가안보 및 경제에 비정상적이고 특별한 위협을 가한다고 평가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상호관세 정책의 도입을 규정함(제1조)※ 양자무역 관계에서의 상호주의 결여, 관세율 차이 및 비관세 장벽, 그리고 미국 무역 파트너의 경제정책으로 인해 대규모의 연간 무역적자가 누적되어, 미국내 임금과 소비 위축을 초래함 ◦ 상호관세 정책의 적용대상 및 기간-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미국은 모든 무역 파트너의 모든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여, 세계 무역 흐름의 재균형화를 도모하는 정책을 추진함-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의 추가 관세를 적용하며, 이 행정명령의 부록 I에 명시된 비율에 따라 증액될 수 있음- 해당 추가 관세는 2025년 4월 5일 이후 소비를 위해 반입되거나 창고에서 출고된 상품부터 적용되며(제3조), 상호관세 정책은 미국경제 정상화 등 기본 조건이 충족, 해결, 또는 완화될 때까지 유지됨(제2조)◦ 상호관세 정책 이행권한 위임- 상무부 장관과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주요 부처 장관과 협의하여야 하며,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에 따라 대통령에게 부여된 모든 권한을 위임받아 이 명령의 이행에 행사함(제5조)(서명일: 2025.4.2.)

국가별 법률정보
세계지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러시아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 아프리카 중동 대한민국
대한민국
  • 한국(6,683)
아시아
  • 대만(529)
  • 말레이시아(51)
  • 베트남(398)
  • 싱가포르(127)
  • 인도(87)
  • 인도네시아(194)
  • 일본(4,130)
  • 중국(2,429)
  • 태국(166)
  • 파키스탄(11)
  • 필리핀(70)
러시아·중앙아시아
  • 러시아(163)
  • 몽골(119)
북미
  • 미국(2,661)
  • 캐나다(192)
중남미
  • 멕시코(40)
  • 브라질(22)
  • 아르헨티나(32)
  • 엘살바도르(1)
  • 우루과이(2)
  • 칠레(25)
  • 코스타리카(2)
  • 콜롬비아(18)
오세아니아
  • 뉴질랜드(59)
  • 호주(12)
중동
  • 이란(11)
  • 이스라엘(14)
유럽
  • 그리스(6)
  • 네덜란드(38)
  • 노르웨이(38)
  • 덴마크(44)
  • 독일(2,087)
  • 룩셈부르크(15)
  • 벨기에(46)
  • 스웨덴(81)
  • 스위스(165)
  • 스페인(87)
  • 아일랜드(22)
  • 에스토니아(11)
  • 영국(920)
  • 오스트리아(88)
  • 유럽연합(527)
  • 이탈리아(41)
  • 체코(9)
  • 포르투갈(13)
  • 폴란드(12)
  • 프랑스(985)
  • 핀란드(47)
  • 헝가리(24)
아프리카
  • 나이지리아(3)
  • 알제리(30)
  • 에티오피아(1)
  • 이집트(3)
  • 케냐(11)
  • 코트디부아르(1)
  • 튀니지(1)

의회정보

Federal police officers: considerations on retirement and pay

Autism policy and services: UK legislation and strategies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정무위원회

디지털 반독점 규제 관련 정책입안 지침

A policymaker’s guide to digital antitrust regulation

Cloud computing: private sector leading practices in acquisition, cybersecurity, and workforce development

Policy pathways for integrating fast payment systems with digital currencies

환경노동위원회

고용권 법안

Employment rights bill: bill 81 of 2024-25

The value of follow-on biopharma innovation for health outcomes and economic growth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기획재정위원회

트럼프 당선에 따른 무역 관세의 지정학

The geopolitics of trade tariffs: the new Trump presidency

교육위원회,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아동보호법(디지털 안전 및 데이터 보호법)

Protection of children(digital safety and data protection) bill

From fast follower to innovation leader: restructuring South Korea’s technology regulation

The inflation reduction act is negotiating the United States out of drug innovation

How do we re-energise Britain’s museums?

법제사법위원회,여성가족위원회

혼전계약에 관한 법률

Law relating to prenuptial agreements

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FERC) natural gas permitting and litigation

A policymaker’s guide to China’s technology security strategy

Congress can’t outgrow or inflate away the social security financing problem

보건복지위원회

의료저축계정(HSA)

Health Savings Accounts (HSAs)

Hypersonic weapons: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입법과 통계

고령자 고용

고령자 고용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2025-03-26
가상자산시장

가상자산시장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2025-02-27
아동학대 신고 및 조사

아동학대 신고 및 조사

아동복지법

2025-02-26
정신의료기관 입원제도

정신의료기관 입원제도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2024-12-12
아동·청소년 온라인 안전

아동·청소년 온라인 안전

청소년 보호법

2024-11-13
기후변화

기후변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2024-11-06
디지털 성범죄

디지털 성범죄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2024-10-31
전기자동차

전기자동차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2024-09-25
근로시간과 유연근무

근로시간과 유연근무

근로기준법

2024-09-13
우주항공산업

우주항공산업

항공우주산업개발 촉진법

2024-08-21
항공 여객 및 사고

항공 여객 및 사고

항공사업법 항공안전법

2025-02-21
  1. 우리나라 항공 여객 추이
  2. 항공사별 여객 추이
  3. 우리나라 공항별 여객 추이
공정거래

공정거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공정거래법

2024-12-26
  1. 공정거래위원회 사건 접수 및 처리 추이
  2. 공정거래위원회 법률별 사건접수 및 사건처리 추이
  3. 공정거래법 위반 유형별 시정 추이
가축전염병

가축전염병

가축전염병 예방법

2024-12-17
  1. 주요 가축 사육두수 추이
  2. 법정 가축전염병 제1·2·3종 발생 추이
  3. 소·돼지 가축전염병 발생 누적 통계(2000~2023년)
디지털 교육

디지털 교육

교육기본법 디지털 기반의 원격교육 활성화 기본법

2024-11-18
  1. 디지털 교육 예산 추이
  2. 2023년 디지털 교육 예산 분야별 현황
  3. 초중고등학교 학생용 컴퓨터 보유 추이
국방 및 방위산업

국방 및 방위산업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 국방개혁법 국방과학기술혁신법

2024-11-11
  1. 국군 병력 및 국방 예산 추이
  2. 2023년 국가별 국방예산 및 병력 비교
  3. 대한민국 및 주변국의 GDP 대비 국방비 비율 추이
소방

소방

소방기본법 119구조ㆍ구급에 관한 법률

2024-10-23
  1. 119출동 관련 신고 건수 및 소방공무원 인원 추이
  2. 광역시도별 소방공무원 1인당 담당인구수 추이
  3. 2023년 소방공무원 1인당 담당인구수
국세

국세

국세기본법

2024-09-27
  1. 조세 징수 실적 및 조세부담률 추이
  2. 2022년 기준 OECD 국가별 조세부담률 비교
  3. OECD 주요 국가 조세부담률 추이
강력범죄

강력범죄

형법

2024-08-30
  1. 강력범죄 발생 및 검거 추이
  2. 흉악 강력범죄 유형별 비율 추이
  3. 폭력 강력범죄 유형별 비율 추이
주택

주택

주택법 주거기본법

2024-08-09
  1. 주택수 및 보급률 추이
  2. 광역 시도별 주택 보급률 추이
  3. 주택 유형별 추이
임금노동자 근로시간

임금노동자 근로시간

근로기준법

2024-07-02
  1. 임금노동자 월간 근로시간 추이
  2. 성별 월간 근로시간 추이
  3. 연령대별 월간 근로시간 추이
민사 본안사건 변호사 선임 건수

민사소송법

법제사법위원회

#사법연감 #항소 #변호사선임 #변론기일
연도별 병역면탈 적발 건수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법제사법위원회

#특별사법경찰 #사법경찰직무법 #수사범위 #직무범위 #병역법
도산사건 접수건수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법제사법위원회

#도산사건 #채무자회생법 #가계대출 및 산업별 대출금 #도산법원
헌혈 실적 관련 통계

혈액관리법

보건복지위원회

#혈액정보통계 #헌혈 #헌혈자 #헌혈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