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및 연혁
국회법률도서관
은
국내외 법률자료를 망라적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외부 법령정보를 연계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종합 법률정보를 국회와 국민에게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법률자료를 망라적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외부 법령정보를 연계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종합 법률정보를 국회와 국민에게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
2022
-
07월국회도서관-한국법제연구원 공동국제세미나 개최
-
05월법률정보조사과정 교육
-
01월『World&Law』 법률 뉴스레터 서비스 실시
2021-
12월『법으로 보는 인공지능』 발간
-
12월제24차 AI와 국회포럼 「주요국의 AI관련 입법동향」
-
09월제13차 국회도서관‧전국대학법학도서관협의회 공동세미나 「포스트 코로나 대비 법학도서관의 당면 과제」
-
09월제20차 AI와 국회포럼 「AI로 외국법 읽다」
-
08월제19차 AI와 국회포럼 「전세계 법을 한번에: 팀황 특별강연」
-
06월제16차 AI와 국회포럼 「인공지능과 조세」
-
05월법률정보조사과정 교육
-
04월제14차 AI와 국회포럼 「인공지능과 미래행정」
-
03월제12차 AI와 국회포럼 「인공지능과 윤리」
-
01월제8차 AI와 국회포럼 「법과 인공지능」
2020-
12월제6차 AI와 국회포럼 「법률정보서비스 인공지능 기술 적용 전략」
-
11월법률정보기관 실무자 간담회 개최
-
10월제4차 AI와 국회포럼 「인공지능 시대의 법률정보서비스」
-
09월대한변호사협회 특별연수 참여
-
06월국회도서관, 한국법제연구원 공동발간 『미국,유럽,아시아 11개국 법체계 알기 쉽게 풀기』
-
02월국회도서관, 전국대학법학도서관협의회 공동발간 『글로벌 법학 리서치 가이드』
2019-
07월국회도서관 한국법제연구원 국제공동학술대회 개최
-
05월법률정보조사과정 교육
-
04월한국법률정보협의회 설립
-
01월외국법률번역DB 외부 서비스
2018-
07월국회도서관·한국법제연구원 공동세미나 개최
-
06월과 명칭 변경(법률정보관리과→법률번역관리과, 법률정보개발과→국내법률정보과)
-
05월국회도서관·전국대학법학도서관협의회 공동세미나 개최 / 법률정보조사과정 교육
-
01월외국법률번역DB 외부 서비스
2017-
08월국회도서관·전국대학법학도서관협의회 공동세미나 개최
-
07월국회도서관·한국법제연구원 공동세미나 개최
-
05월법률정보조사과정 교육
2016-
11월국회도서관 직제개정(법률자료조사관 1인 증원)
-
05월법률정보검색과정 교육
-
01월국회도서관 법률정보 Open API 서비스
2015-
08월국회도서관·전국대학법학도서관협의회 공동세미나 개최
-
05월법률정보조사과정 교육
-
01월법률쟁점서비스 외부 서비스
2014-
08월국회도서관·전국대학법학도서관협의회 공동세미나 개최
-
05월법률정보센터 개관
2013-
08월국회도서관·전국대학법학도서관협의회 공동세미나 개최
2012-
02월법률정보조사과정 교육
2011-
08월법률정보실 4개과 신설
-
05월국회법률도서관 홈페이지 오픈(국가법령정보센터, 헌법재판소 등 연계)
2010-
04월법률정보개발과 신설
2009-
07월법률정보조사과정 교육
-
04월국회도서관 직제개정(법률정보과 → 법률도서관운영과, 법률자료과)
2008-
09월법률정보조사과정 교육
2007-
01월법률정보과 신설
2006-
08월의회법령자료실 → 법령자료실로 명칭 변경
2004-
12월세계법률정보망 담당 신설(입법조사3과)
2002-
12월의회법령자료실로 열람실 통합(의회자료실 + 법령자료실)
2000-
01월세계법률정보망 담당 → 법령자료담당 변경
1995-
세계법률정보망 담당 신설(의회법령자료과)
1994-
08월의회자료실과 법령자료실 열람실 분리
1989-
의회법령자료과 신설
1985-
의회·법령자료실 개실
1981-
09월법령자료실 개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