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법률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보기
2024. 1. 10. | 2024-1호
by 국회도서관
낫 놓고 금융의 ㄱ자도 몰라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 너무 많지만 그 중 하나만 고르라면 '돈'에 관한 지식 아닐까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역임한 앨런 그린스펀은 "문맹은 생활을 불편하게 하지만, ‘금융문맹’은 생존을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말하기도 했어요. 건전한 금융생활을 할 수 있는 지식과 태도를 갖추어야 경제적 위험에 대비할 수 있고, 금융사기를 당해 재산을 잃는 사고도 막을 수 있어요. 그런데 우리나라 10대 청소년과 청년들이 체계적인 금융교육이 부족해 금융문맹에 가까운 상태에 놓이거나 SNS를 통한 대출사기에 취약한 상태로 노출되고 있다고 해요.
학교에서부터 배우자: 미국의 금융이해교육  
미국은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셧다운 등 경제위기 시기를 넘기지 못하고 파산, 신용불량 등 금융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개인의 금융이해력(Financial Literacy)을 길러야 한다는 사회적 논의가 진행되었어요. 연방 차원에서도 금융교육을 위한 위원회를 설립하고, 일부 주(州)는 학교교육에서 금융교육을 의무화했어요.
  • 큰그림은 위원회가: 법률에 따라 설치된 '금융지식교육위원회'는 미국 국민의 금융 지식 교육 개선을 위한 일을 전문적으로 수행해요.(20 U.S.C. §§9702)
  • 위원회는 재무부장관을 의장, 소비자금융보호국의 국장을 부의장을 맡아요. 연방 은행기관, 증권거래위원회, 교육부 등의 금융 교육 관련 책임자들도 위원회에 참여해요.
  • 위원회는 개인·가정의 금융 관리 능력을 계발하고, 기만적인 투자상품을 피하고 금융상품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이를 쉽게 가르칠 수 있는 최적의 교수법도 개발해야 해요. 법률에 따라 국민들이 쉽게 금융 지식 교육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홈페이지와 상담전화도 운영해야 해요.(20 U.S.C. §§9703)
  • 실행은 각 주 학교에서: 각 주들은 개별적으로 학교에서의 금융 교육을 위한 법률을 제정하고 커리큘럼에 따라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어요.  
  • 아칸소주의 9학년~12학년 학생은 개인 및 가족 금융(personal & family finance) 과목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어요. 학생들은 가계부 작성, 투자 계획, 부채 관리, 급여명세표 이해와 같이 금융활동을 위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능력을 배워요.(A.C.A. §§6-16-135)
  • 유타주도 '일반 금융 이해(General Financial Literacy)' 과목이 고등학교 졸업 필수 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어요. 이 과목에선 예산, 예금, 투자, 주택임대차, 이자, 신용카드 부채 관리, 보험을 비롯한 '금융 및 경제 이해 개념'을 배워요.(U.C.A. 1953 §§53E-3-505)
  • 뉴저지주는 6학년~8학년 사이의 중학생들 대상으로 '금융 이해 교육'을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어요.(N.J.S.A. §§18A:35-4.34) 
다른 나라는 어때?
  • 영국 - 자금·연금서비스국에서 「금융지도 및 청구에 관한 법률(2018)」[원문], 「재정복지를 위한 국가전략 2020-2030」에 따라 금융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해요. 공립 중고등학교는 '개인·사회·건강·경제(PSHE)' 과목에서 개인금융과 위험관리, 금융상품정보 등을 교육하는데요, PSHE 과목에서 금융교육이 필수는 아니에요.
  • 캐나다 - 금융소비자청이 「2021-2026 국가 금융이해력 전략」에 따라 전국민을 대상으로 금융교육을 추진하고 있어요. 대부분의 학교가 금융지식을 통합적으로 교육하고 있어요. 그 중 브리티시컬럼비아주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수학과정, 컴퓨터 과학 등의 과정에 금융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어요.
  • 일본 - 돈에 대한 대화가 금기시되고 투자보다는 저금을 중요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때문에 금융교육이 활발하지 못했어요. 금융교육이 부족한 젊은 세대를 노린 금융사기가 증가하고, 재무계획 없이 노후를 맞이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정부가 금융교육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요.
  • 금융청이 「금융경제 교육지도 교재」 발간 등 금융교육 활동을 추진하고요. 문부과학성도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을 제정해 고등학교 필수과목인 ‘가정과’에서 재무계획과 자산형성을 포함한 금융교육을 실시해요.
그럼 우리나라는? 
「경제교육지원법」 제5조제2항,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30조제3항에 따라 학교에서의 금융교육을 장려하고 있어요. 다만 초·중등과정에서 산발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져 재무계획, 금융안전을 포함하는 실질적인 금융교육이 부족한 상황이에요. 이에 정부는 2022 개정교육과정에 고등학교 사회과목에 ‘금융과 경제생활’ 교과를 신설했는데요. 2025년에 고1이 되는 학생부터는 학교에서 '금융과 경제생활' 과목을 선택과목으로 배울 수 있어요. 국회에도 ‘경제교육 관련 수업시간 확보’를 법률에 명시하는 등 학교에서 실질적인 금융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법안들이 제출되어 있어요.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주요국 의회에서 새롭게 제·개정된 법률을 안내드립니다!  
유럽연합 - 「유럽연합 기관, 단체, 부처의 고수준 공통 사이버보안 조치 제정에 관한 규칙 (EU) 2023/2841」
유럽연합의 기관들이 높은 수준의 사이버보안을 공통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내부 사이버보안 위험 관리, 거버넌스 및 통제 프레임워크 구축 등을 규정했어요.
일본 - 「저작권법 일부개정법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과 저작권 등의 적절한 보호를 위하여 입법, 행정 목적상 사용을 규정했어요.
국회법률도서관 '주요국 입법동향'에서 더 많은 소식들을 보실 수 있어요.
오늘의 World&Law는 어떠셨나요?  
World&Law를 읽으면서 꼭 하고 싶었던 이야기, 이제는 말할 수 있다!
구독자님들의 소중한 의견을 저희에게도 들려주세요~
의견 말하러 가기!
지금 메일에 자주 접속하지 않거나, 메일이 깨지면 여기에서 구독 메일을 바꿔보세요!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
law@nanet.go.kr
02-6788-4755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 국회도서관
수신거부